Menu

성공적 협력사례

대웅제약은 함께하는 파트너와의 Win-Win(상생)을 중요시 합니다.
대웅제약 오픈콜라보레이션의 다양한 협력사례를 공유드립니다.

대학

척추유합용 임플란트의 산학공동개발

more

정부출연기관

BGS-7(생체활성 유리소재)의 3D프린팅 의료기기

more

병원(임상의)

상처치료 분야 전문가와 협력을 통한 신제품 개발

more

글로벌기업

인도네시아 인피온사와 JV 설립

more

바이오텍

공동 경영/연구를 통한 기술 수출 파트너

more

벤처

서방형 플랫폼 기술을 도입하여 루피어 제품화

more

벤처

줄기세포 벤처 강스템바이오와 공동 개발 착수

more

대학

척추유합용 임플란트의 산학공동개발

more

정부출연기관

BGS-7(생체활성 유리소재)의 3D프린팅 의료기기

more

병원(임상의)

상처치료 분야 전문가와 협력을 통한 신제품 개발

more

글로벌기업

인도네시아 인피온사와 JV 설립

more

바이오텍

공동 경영/연구를 통한 기술 수출 파트너

more

벤처

서방형 플랫폼 기술을 도입하여 루피어 제품화

more

벤처

줄기세포 벤처 강스템바이오와 공동 개발 착수

more

대학

척추유합용 임플란트의 산학공동개발

more
다음
이전

핵심역량 제공 가능

대웅제약은 오픈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여러분의 아이디어/과제가
발전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물질제공
  • 생산지원
  • 연구자주도 프로그램운영
  • 네트워크제공
  • 연구시설이용

라이브러리

신규 타겟의 작용기전 연구 및 유효물질 발굴을 위한
in-house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Fragment library

    (분자량 350 이하, 유효 scaffold 발굴에 적합, 농도 10~50mM)

  • 이온채널-전용 화합물 library

    (농도 10mM)

  • Kinase 저해 전용 library

    (농도 10mM)

줄기세포

연구 단계에 따른 적합한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Technology

Technology

데포주사제, 유핵정 등 다양한 특화제제의기술을보유한 대웅제약은 고객 니즈에 최적화된 제형을 개발합니다.

Experience

Experience

대웅제약은 70년간 쌓아온 숙련된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한 CDMO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Quality-oriented

Quality-oriented

품질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대웅제약은 cGMP/EU-GMP 수준의 설비와 품질관리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제공하는것

  • 임상/비임상 연구에 필요한 연구비

  • 대웅 IIS 승인위원회의 연구계획에 대한 검토

  • 임상용 의약품 지원

  • 통계 (임상시험계획 및 보고서 작성)

연구자의 득

  • 다양한 임상영역에 폭넓은 재정적 지원

  • 대웅제약 임상역량 기반으로 연구자 주도 임상 수행 과정의 보조적 자문 역할

  • 연구자주도 임상시험의 결과물로 연구자 성과 기여 및 추가적 임상 가능성 제고

  • TILLOTTS Pharma
  • Astrazeneca
  • IPsen
  • Almirall
  • Aptalis
  • Bruschettini
  • Recipharm
  • Meda
  • Kyowa kirin
  • Onxeo
  • Ethyphram
  • VVRIX
  • Stiefel
  • BMS
  • BMS
  • Eleison
  • Eleison
  • HBN
  • Janssen
  • menarini
  • Merck
  • PRP
  • Daiichi-sankyo
  • Novartis
  • Sato
  • Merap
  • Astellas
  • Emcure
  • synthon
  • Sumitomo Dainippon
  • Sandoz
  • Kaken
  • Mitsubishi tanabe
  • Asia Pharma
  • Cipharma
  • P.T Infion
  • OUBARI HABBOUSH
  • Vietha Pharma
  • Medicas
  • Bago
  • Eisai
  • Supernus
  • Takeda
  • Probiomed
  • ABDiibrahim
  • Comedix
  • Egy-Tec
  • TKJ pharmaceuticals
  • Alphaeon
  • Strathspey crown
  • Evolus
  • Alvils
  • Pharm sintez
  • GPC
  • Autotelic LLC
DW-LAB

DW-LAB

국내/외의 대웅제약 연구소는 대웅제약 협력대상자 분들에게 오픈되어 있습니다.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에 위치 하며, 협력 대상자분들은 최첨단 시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Stem cell GMP

Stem cell GMP

대웅제약 바이오 연구센터 내에 있는 줄기세포 전용 GMP 시설은 재생의료분야 연구자의 니즈를 바탕으로 구축한 줄기세포 임상시료 및 제품생산 시설이며, 대웅제약의 파트너에게 열려있는 공간입니다.

Smart Office

Smart Office

대웅제약 바이오센터는 스마트오피스 개념을 적용하여 연구원들간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마트한 사무환경을 구현하였으며 협력 대상분들은 DW Lab과 연계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제안단계별 성과배분

step01 아이디어

기준

  • 신제품/기술 개발 컨셉 및 근거자료
  • 필수 : 과학적 타당성
  • 옵션 : 시장성, 사업성

절차

  1. 1. 1차 신속검토 > 비밀유지계약(CDA)
  2. 2. 2차검토 > Feasibility test
  3. 3. 공동연구/도입계약

성과배분

  • Feasibility 비용 : 대웅제약 부담
  • 공동연구 비용 : 협의
  • 특허권 : 공동
  • 전용실시권 : 대웅제약 기술료
step02 탐색

기준

  • 컨셉을 실현하여 효능, POC, 기초독성자료 보유

절차

  1. 1. 1차 신속검토 > 비밀유지계약(CDA)
  2. 2. 2차검토 > MTA 체결 > Feasibility test 및 DueDiligence
  3. 3. 공동연구/도입계약

성과배분

  • MTA 평가 : 대웅제약 부담
  • 공동연구 비용 : 협의
  • 특허권 : 공동
  • 전용실시권 : 대웅제약 기술료
step03 개발 Early stage

기준

  • 비임상독성 ~ 임상 1상

절차

  1. 1. 1차 신속검토 > 비밀유지계약(CDA) > 기술/제품 설명회
  2. 2. 2차검토 > MTA 또는 Due Diligence(실사)
  3. 3. 도입 또는 공도연구 계약 체결

성과배분

  • 개발비 : 양자 협의
  • 전용실시권 : 대웅제약의(terriroty 협의) 기술료
step04 개발 Last stage

기준

  • 임상 2상 ~ 3상

절차

  1. 1. 1차 신속검토 > 비밀유지계약(CDA) > 기술/제품 설명회
  2. 2. 2차검토 > MTA 또는 Due Diligence(실사)
  3. 3. 도입 또는 공도연구 계약 체결

성과배분

  • 개발비 : 양자 협의
  • 전용실시권 : 대웅제약의(terriroty 협의) 기술료
step05 상업화

기준

  • 허가 제출준비단계

절차

  1. 1. 1차 신속검토 > 비밀유지계약(CDA) > 기술/제품 설명회
  2. 2. 2차검토 > MTA 또는 Due Diligence(실사)
  3. 3. 도입 또는 공도연구 계약 체결

성과배분

  • 개발비 : 양자 협의
  • 전용실시권 : 대웅제약의(terriroty 협의) 기술료